본문 바로가기
인건비/인건비 신고방법 및 유의사항

2023년 사대보험요율 및 급여계산 해보기

by 쫀지 2023. 8. 26.
반응형

 

 

 

이전 게시물에서 사업자 취득신고 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포스팅했었습니다.

취득신고를 하게 되면 보험료는 얼마가 나오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각 보험의 보험요율과 보험료에 대해 설명하고

급여 기준으로 보험료는 얼마인지까지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정직원이라 하면 가입되는 보험의 종류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입니다.

(일용직은 고용보험, 산재보험)

 

보험의 종류가 4가지여서 우리는 이를 "사대보험", "4대보험" 이렇게 칭하기도 합니다.

해마다 사대보험요율은 조금씩 인상됩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사대보험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업종별 산재보험 요율

 

국민연금
근로자 4.5% 사업주 4.5% 총 9%

 

2022년과 보험요율 동일

다른 보험에 비해 보험요율이 높기도 하고 국민연금이라는 특성 때문에

국가에서 "두루누리 보험료 지원"이라는 제도를 만들어

국민연금 납세자에게 보험료를 최대 80% 까지 지원해 드립니다.

 

사대보험 중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이

두루누리 보험료 지원에 포함됩니다.

 

지원대상과 지원금액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건강보험
근로자 3.545%+0.4541% 사업주 3.545%+0.4541%
건강보험 총 7.09% 장기요양보험 총 12.81%

 

건강보험은 매 해마다 조금씩 인상되고 있습니다.

2022년 건강보험 6.99% -> 2023년 건강보험 7.09%

2022년 장기요양보험 12.27% -> 2023년 장기요양보험 12.81%

 

고용보험
근로자 고용보험 0.9% 사업주 고용보험 0.9% +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0.25% (인원에 따라 차등)

 

고용보험의 종류에는 크게 고용보험(실업급여)과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고안직능)

두 가지 종류로 나눠집니다.

고안직능 보험료율은 고용 인원에 따라 차등으로 분류되며

150인 이하 기업은 0.25%부터

1000인 이상 기업 0.85% 까지 있습니다.

 

산재보험
업종별로 보험요율 차등적용

 

보통 특이 업종이 아니라면 1% ~ 2%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의 업종별 산재보험요율을 참고하세요.

 

 

 

사대보험 모의계산 사이트에서 급여만 반영하여

각 보험료가 얼마씩 산출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사이트로 자동 접속됩니다.

 

 

↑ 사대보험 모의계산 해보기 ↑

 

 

사대보험은 매년 조금씩 인상되고 있습니다.

근로자, 사업주, 실무자 모두 매년 바뀌는 보험요율을 미리 숙지하여

업무에 지장 없도록 함께 공유해요.

 

국가에서 국민연금, 고용보험 보험료를 지원해 주는

"두루누리 지원사업"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 달아주시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