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대보험3

국민연금 납부예외신고 신청방법 국민연금EDI 사업의 중단과 근로자의 실직, 휴직 등의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하여 소득이 중단되었을 때 국민연금 보험료는 계속 납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발생합니다. 국민연금 같은 경우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과는 다르게 일정 기간 동안 국민연금 납부예외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국민연금 납부를 하고 싶지 않다고 납부를 중단할 수는 없고 국민연금 납부 예외를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갖춰져야 합니다. 먼저 납부예외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산전 후 휴가 및 육아유직, 병역의무 수행, 재학, 3개월 이상 입원, 휴직, 산재요양, 무급노조전임자 이 사유들 중 해당사유가 있는 사람만 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은 방문신청, 팩스신청, 온라인신청으로 가능합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2023. 9. 19.
연금고용 두루누리지원금 대상자와 조건 지원금액 계산해보기 이전 게시물에서 2023년 사대보험요율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보험요율의 급여의 20% 이상 차지하고 있어서 근로자와 사업주의 보험료 부담이 크게 느껴집니다. 국가에서는 소규모 사업을 운영하는 사업주와 근로자를 위해 국민연금, 고용보험을 국가에서 지원해줍니다. 이를 통해 사대보험 가입 부담을 덜어주고, 사대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제도가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입니다. 지원대상 근로자 수 10명 미만의 사업장 월평균보수 260만원 미만 신규가입 근로자와 그 사업주 * 신규가입자 : 지원신청일 직전 6개월간 국민연금, 고용보험의 취득 이력이 없어야 함 * 기존가입자 : 2021년부터 지원대상 아님 지원수준 및 지원기간 지원수준 : 신규가입자와 사업주가 부담해야 하는 국민.. 2023. 8. 27.
2023년 사대보험요율 및 급여계산 해보기 이전 게시물에서 사업자 취득신고 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포스팅했었습니다. 취득신고를 하게 되면 보험료는 얼마가 나오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각 보험의 보험요율과 보험료에 대해 설명하고 급여 기준으로 보험료는 얼마인지까지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정직원이라 하면 가입되는 보험의 종류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입니다. (일용직은 고용보험, 산재보험) 보험의 종류가 4가지여서 우리는 이를 "사대보험", "4대보험" 이렇게 칭하기도 합니다. 해마다 사대보험요율은 조금씩 인상됩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사대보험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연금 근로자 4.5% 사업주 4.5% 총 9% 2022년과 보험요율 동일 다른 보험에 비해 보험요율이 높기도 하고 국민연금이라는 특성 때문에 국가에.. 2023.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