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가가치세/개인사업자 부가세

5분만에 홈택스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 발급하는 방법

by 쫀지 2023. 9. 7.
반응형

 


 
부가세과세표준증명이란?
 
사업자가 신고한 부가가치세 매출과세표준과 납부세액을 증명하는 민원서류로
납세자(사업자) 신청에 의한 부가가치세 신고내역에 대한 증명발급 사무입니다
 
사업을 운영하는 대표자라면 대출 등 필요서류에 부가세과세표준증명을 안내받은 경험이 많을텐데요.
해당 기관에서 사업장의 매출을 기간별, 연도별로 확인할 수 있는 서류입니다.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은 부가가치세 신고가 모두 완료된 사업장만 발급 가능합니다.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 발급은
세무서에 방문하여 직접 발급도 가능하며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여 온라인 발급도 가능합니다.
 
먼저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 후 로그인을 해주세요.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은 로그인할 때 공인인증서나 간편 인증이 필요합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홈택스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로그인 후 홈화면의 [국세증명.사업자등록.세금관련 신청/신고] 메뉴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의 [즉시발급 증명] 을 클릭해 주세요.
 
 
 
 

 
 
 
그럼 즉시 발급 가능한 여러 증명원의 목록이 조회됩니다.
아래 부가세과세표준증명 유형을 확인 후 옆쪽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세무대리인이 발급하려고 하는 경우
발급하려고 하는 사업장의 사업자번호를 입력 후 확인을 눌러 의뢰인 수임여부에 체크해 주세요.
 
개인사업자가 직접 발급하려고 하는 경우
본인의 사 업자번호를 확인 후
신청내용, 수령방법을 원하는 유형으로 체크한 후 맨 아래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서 신청을 완료해 주세요.
 
신청내용의 과세기간은 해당연도 1기~2기로 조회 가능하며
1기는 1월~6월의 과세기간
2기는 7월~12월의 과세기간을 의미합니다.
 
 
 
 

 
 
 
신청한 민원증명 서류는 인터넷접수목록조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민원의 라인 맨 오른쪽의 출력을 눌러서 프린트해 주거나 pdf파일로 저장 가능합니다.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의 내용은
사업자등록증상의 정보가 표시되며 가운데 과세기간, 매출과세표준, 납부할 세액의 내용이 들어갑니다.
법인은 1년에 총 4번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지만 증명원상에서는 상반기, 하반기 총 2번으로 나눠져 표시됩니다.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으로 사업자의 매출 규모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기관 대출이나 정부지원금을 신청할 때
사업자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꼭 들어가는 서류입니다.
 
부가가치세 신고가 완료 되어야 발급 가능하며, 세무서의 전산 시스템에 따라서 신고 후 즉시 발급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 달아주시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